고혈압은 병이 아니다-마쓰모토 미쓰마사
혈압약은 뇌경색 발병을 배가시킨다
흔히들 뇌경색의 원인을 고혈압에서 찾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오히려 혈압이 낮을 때 발생하는 질환이다
뇌혈관이 막히면 몸은 사력을 다해 혈류의 강도를 높여
피의 응고물을 흘려보내려 한다. 즉 혈압을 높여 피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뇌를 지키려고 하는 것이다
‘고혈압 때문에 뇌경색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뇌경색
이 발생했기 때문에 혈압을 높여 낫게 하려는 작용’
인데 원인과 결과를 완전히 반대로 해석한다
이때 혈류가 약해져서 피의 응고물을 떠내려 보내지 못
하면 바로 뇌경색에 이르는 것이다. 이런 논리는 조금만
생각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약으로 혈압을 떨어뜨리는 일은 목숨을 앗아가는
것과 같은 행위다. ‘뇌경색은 혈압약을 처방한 의사가
만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카이 대학 의학부 오구시 요이치의 연구에 따르면
“혈압약을 먹은 사람은 먹지 않은 사람에 비해 뇌경색
발생률이 두 배”라고 한다
오구시 교수는 1999년부터 2007년까지 후쿠시마 현
고오리야마 시에 사는 남녀 4만 명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전국의 데이터와 비교한 연구에서 혈압약이 뇌경색을
증가 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런데 왜 많은 사람들이 ‘뇌경색 예방을 위해 혈압약을
먹고 있는 것일까?
사실 1950년대까지는 뇌졸중의 약 90%가 ’뇌출혈‘
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뇌출혈은 줄고 뇌경색이 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70년대에 들어서자 역전되었고
1990년대에는 ’뇌출혈‘이 10~20% 내외로 보합세를
유지한 데 비해 ’뇌경색‘은 80~90%까지 치솟아
1990년대 중반부터 갑자기 증가했다
그럼 왜 옛날에는 뇌출혈이 많았을까?
그것은 당시 일본의 영양 상태가 매우 안 좋았기 때문
이다. 영양 상태가 안 좋으니 혈관이 약해져서 높은
혈압을 견뎌낼 수 없었던 것이다
또 옛날에는 육체적인 스트레스가 셌다
농사일이나 건설 현장의 육체노동도 지금처럼 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거의 사람의 힘에 의존했다
집안일도 가전제품이 없어서 청소나 빨래는 사람의
손을 빌려야 했다
혈관이 약한 데다 강한 육체 스트레스가 더해지는 바람
에 혈관이 쉽게 터져서 뇌출혈이 많았다
때문에 ’고혈압=뇌졸증으로 쓰러진다‘는 이미지가
의사가 국민들 사이에 퍼져나갔다
지금은 영양이 개선되고 육체노동도 거의 사라져 뇌졸중
에서 뇌출혈이 차지하는 비중은 10~20%수준까지 떨어
졌다.
그런데도 ’고혈압=뇌졸중‘의 이미지만은 끈질기게 살아
남아 뇌출혈 예방을 위해 몇 천만 명의 사람들이 혈압약
을 복용하고 있다
’뇌졸증‘이라는 상자 안에 들어 있는 것이 혈압약을
먹음으로써 위험을 줄이는 ’뇌출혈‘에서, 오히려 위험을
높이는 ’뇌경색‘으로 바뀌었다
필자는 “혈압약은 절대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혈압을 낮추면 뇌출혈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뇌경색을 일으킬 확률 역시 높아진다
-혈압약을 먹으면 암에 걸린다-
혈압약을 먹으면 왜 암 발생률이 높아지는 걸까?
그 이유는 혈압을 낮추는 구조에 있다
혈압약은 몇 가지 유형이 있는데, 여기선 칼슘 길항제에
대해 살펴보겠다. 칼슘 길항제는 일본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종류다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벽을 누르는 압력을 말한다
혈액의 양이 같을 경우 혈관이 넓으면 압력은 낮아지고
반대로 혈관이 좁으면 혈압은 높아진다
혈관 수축에는 칼슘이 큰 영향을 미친다
모든 세포의 표면에는 칼슘이 드나드는 작은 구멍이 있다
칼슘이 이 구멍을 통과하면 전기적인 변화가 일어나 혈관
이 수축된다. 즉 혈압이 오르는 것이다
칼슘 길항제는 바로 이 칼슘 통로를 막는 효과가 있어
혈관은 수축하지 못하고, 넓어진 채로 있게 된다
그래서 혈액이 쉽게 흐르는 상태가 되어 혈압이 내려
가는 구조다
그런데 칼슘 길항제에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다
칼슘 통로는 혈관뿐만 아니라 몸속의 모든 세포에 있다
따라서 혈압약이 모든 세포의 칼슘 통로를 막아버리면
세포는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생기는 가장 큰 폐해는 면역세포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일이다
칼슘 길항제는 면역력을 떨어뜨림으로써 정상적인 경우
라면 제거될 암의 싹을 방치하는 셈이다
1993년 아바리키 현의 조사에 따르면
혈압약을 복용한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암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가 1.14배 였다
더욱이 남성에만 한정된 경우 1.3배나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면역력 저하는 암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타
다양한 질병까지 발생시킨다
이런 사실들로 미루어볼 때, 혈압약 사용은 될 수 있으면
삼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혈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질환의 주범 콜레스테롤-메이슨 프리먼 (0) | 2024.03.12 |
---|---|
콜레스테롤 수치도 거짓말 투성이-미쓰마시 (0) | 2024.02.28 |
혈압은 나이와 함께 상승한다-미쓰마사 (0) | 2024.02.28 |
고혈압은 병이 아니다-미쓰마사 (1)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