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2형 당뇨의 원인-윤태호

암과 질병의 자연치유 2023. 12. 31. 18:44
728x90

당뇨병 약 없이 환치할 수 있다-윤태호

 

2형 당뇨(고혈당)원인

췌장에서 인슐린을 충분히 분비해도 단순히 혈당만

높은 경우가 있다.

 

-생리적 고혈당-

 

인체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섭취하여 에너지로

사용하고 세포를 만들어 생명 현상을 이어간다

음식물은 위장에서 소화 과정을 거치면서 당으로

변하므로 음식물을 섭취한 직후에는 혈당이 높아지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낮아진다

이것이 식후 혈당과 공복혈당이 다른 이유다

 

그런데 만일 음식을 섭취한 후에 열량을 충분히 사용

하지 않으면 혈당이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는 생리적으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

으로 생리적 고혈당이 이라고 한다

 

1.과도한 열량을 섭취한다

 

주식으로 섭취하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은 대사 과정

을 통해 흡수되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을 섭취하면

세포에서 모두 흡수하지 못한다

 

체내에 흡수되지 못한 영양소는 내장 지방이나 혈중 지방

혹은 혈당으로 쌓인다. 이때 혈당은 근육에도 저장되는데

근육에 저장하는 양은 한계가 있으므로 지속하여 과식

하면 반드시 고혈당에 노출된다

 

2.세포가 당을 흡수하지 않는다

 

운동하면 1시간에 약 40g의 포도당을 사용하고, 운동하지

않으면 약 10g의 포도당을 사용한다. 세포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으면 당을 흡수하지 않는다.

따라서 운동량이 부족할 경우 세포에서 당을 소비하지

않으므로 기초 대사에 필요한 만큼만 흡수한다

 

그것은 식사 후 활동량이 적으면 다음 식사 시간이

되어도 허기를 못 느끼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러한 상태에서 음식을 또 섭취하면 영양소가 복부

지방과 중성 지방으로 저장되고 혈당도 함께 높인다

 

인슐린 활용능력이 떨어질 때-

 

췌장에서 인슐린을 충분히 분비하더라도 인슐린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세포에서 당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므로 혈당이 높아진다, 이러한 경우 인슐린저항성이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요인은 무엇일까?

 

-높은 중성지방(혈중 지방)-

 

미국 미시간대학 칼로간 교수팀의 연구 결과

당뇨로 인한 족부절단 위험은 중성지방이 150~199

경우 1.29, 200~499인 경우는 1.49, 500 이상인

경우는 1.65배로 체내 중성 지방이 많을수록 당뇨

합병증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밝혔다

 

운동을 통해 에너지원이 필요하면 먼저 혈당을 사용하고

그다음은 중성 지방을, 그리고 마지막에는 내장 지방을

사용한다.

 

그런데 만약 순환 장애가 발생하면 인슐린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해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는 상태, 즉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여 혈당이 높아진다.

 

이를 뒤집어 말하면 순환장애가 나타나면 인슐린의 이동

이 원활하지 못해 혈당을 흡수하기 어렵다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중성지방은 혈류 장애를

일으키므로 인슐린 저항성을 높여 혈당을 높이는 요인

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내장 지방의 양이 많을 때-

 

내장 지방은 소장과 간장 사이에 쌓인 지방을 말한다

내장 지방은 혈당이 부족할 경우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에너지원이므로 일정량은 필요하다

 

하지만 내장 지방이 지나치게 많으면 세포가 팽창하여

대사 장애를 유발한다

 

그렇다면 내장 지방이 과다할 경우 당뇨병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먼저 내장 지방은 당의 저장고 역할을 하므로 저장고가

포화하면 혈당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내장지방은 유리지방산으로 분해된 후 대사 과정을 거쳐

에너지로 사용된다

 

내장 지방은 유리지방산으로 분해된 후 대사 과정을

거쳐 에너지로 사용된다. 내장 지방으로부터 분리된

유리지방산은 대부분 저밀도 지방으로 점도가 높아서

인슐린의 이동을 막는다

게다가 유리지방산은 세포벽을 포화하여 당을 받아

들이지 못하게 하므로 고혈당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안철우 교수의 분석에 의하면

당뇨 환자의 65%가 복부 비만이었다. 내장 지방

환자의 경우 당뇨 발생 비율이 정상 체중인 사람의

5~10배 발생한다고 밝혔다

 

허리둘레는 내장 지방의 양에 좌우되며, 허리둘레가

클수록 혈류 저항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

하여 혈당이 높아진다

 

-비 만-

 

지방은 단백질과 합성되어 저단백 형태로 운반되는데

그중 단백질 비율이 낮은 콜레스테롤을 저밀도 콜레

스테롤이라고 한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점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저밀도 콜레스테롤 비율이 높으면 인슐린

의 이동이 어려워지므로 혈당이 높아진다

 

세포벽이 포화하였을 때

 

세포가 저밀도 콜레스테롤 혹은 트랜스지방으로 포화

하면 세포의 문이 열리지 않으므로 혈당이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따라서 세포벽이 포화하면 인슐린 활용 능력이 떨어지므

로 혈당이 높아진다

 

2형 당뇨는 췌장 기능이 정상으로 당뇨병이 아니지만

운동 부족 및 과식으로 인한 생리적 현상 혹은 혈류

저항으로 인해 인슐린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여

혈당이 높아진 것이다

728x90

'당뇨' 카테고리의 다른 글

1형 당뇨 원인-윤태호  (0) 2024.01.02
1.5형 당뇨 원인-윤태호  (1) 2024.01.01
당뇨 합병증 2 -윤태호  (0) 2023.12.30
당뇨 합병증 - 윤태호  (1) 2023.12.30
당뇨는 암을 유발한다-윤태호  (0) 2023.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