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식물식 3

어는 채식의사의 고백

어느 채식의사의 고백-존 맥두걸 1965년 18세 때, 2주 동안이나 몸에 마비증세가 왔다 중풍이었다. 어린 나이에 중풍이라니.... 나는 장애인이 되었다. 나는 절뚝거리지만 남들처럼 걷게 되었다. 어쩌면 절뚝거리며 걷는 이것이, 질병과 건강에 대한 평생의 연구를 가능하게 했는지도 모르는 일이다. 부모님은 1930년대 대공황기를 겪어오셔다. 자식들에게 돈으로 살 수 있는 최고의 음식을 즐기게 하겠다고 결심한 것이다. 그녀의 자비스런 마음은 잘못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우울했던 대공황기의 음식이 더 건강한 음식이었던 것 나는 여렸을 때 계란과 베이컨으로 아침을 먹었고, 마요네즈가 듬뿍 들어간 소고기로 채워진 샌드위치로 점심을, 스테이크와 닭고기가 가득 담긴 저녁을 먹으면서 자랐다. 매 끼니마다 유리잔 가득 우..

자연식물식 2022.11.19

지방의 역설 2

지방이 범인-콜드웰 애셀스틴 한국인의 25% 가량은 심장과 뇌혈관의 문제, 주로 동맥경화로 사망하고 있다. 상황이 어렇다보니 한국인 누간 심장과 뇌혈관에 대한 걱정과 공포를 마음 한편에 쌓아두고 있고, 의료 시스템도 이런 걱정과 공포를 기반 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혈액검사를 한 후 이상소견이 있으면 아스피린이나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저하제를 처방한다. 조금이라도 이상 증상이 있으면 혈관 촬영을 해서 좁아진 혈관을 확인하고 혈관을 넓히기 위한 스텐트를 삽입한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좀처럼 개선되지있 않고 있다. 많은 연구들은 이런 치료가 당장의 사망을 막지만 몇 년 지나 질병이 재발해 사망에 이르는 것을 막진 못한다는 것을 보..

지방 2022.11.13

단백질 역습3

비만의 종말-가쓰 데이비스 내기 이 책을 쓰게 된 이유 현재 나는 미국 휴스턴에서 대규모 체중감량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다. 나는 소위 ‘하얀 가운의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권장했던 우스광스런 식단의 폐해를 매일같이 목격하고 있다 나는 비만과 질병에 시달리는 수천 명의 환자들을 치료 하고 있다는 말이다. 무엇이 효과가 있고 무엇이 효과가 없는지를 알게되었다 동물성단백질의 과잉 섭취가 문제였다. 식물성 식단으로의 전환이 필요했다. 나는 환자들을 치료하면서 신선한 과일 채소 통곡물에서 칼로리를 섭취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비만 환자들은 나를 찾아오기 전에 정반대의 식단을 따르고 있었다. 그들의 식단은 동물들의 시체로 가득했다 많은 환자들은 단백질은 몸에 좋고 많이 먹을수록 좋다는 미신을 계속해서 믿고 ..

단백질 202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