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목

통증과 신체 이상에서 해방되는 열쇠는 목에 있다

암과 질병의 자연치유 2023. 5. 24. 06:32
728x90

기적의 목지압 프로그램 시마자키 히로히코

 

< 통증과 신체 이상에서 해방되는 열쇠는 목에 있다 >

 

목 치료만으로 전신의 증상이 개선될까?

결론부터 말하면 어긋난 경추를 교정하면 뇌에서 내려

오는 굵은 신경 다발에 가해지던 압박을 제거하고 본래

의 신경 전달을 회복시키기 때문이다

 

즉 뇌의 제어 기능을 되살려 누구나 지니고 있는 자연

치유력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 인체 발달의 시작점은 목이다 >

 

인체 골격의 토대는 골반이 아니라 뇌에서 가까운 목이다

머리를 지탱하는 경추가 비뚤어지면 인체의 토대가 함께

기울어지기 때문에 신체 균형도 미세하게 무너진다

 

< 저릿한 통증은 조심하자 >

 

근육통 -> 관절통 -> 신경통

 

통증은 기본적으로 이와 같은 세 종류로 나뉘며 화살표

순서대로 상태가 점점 악화된다고 볼 수 있다.

체내의 더 깊은 곳에서 발생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관절통은 뼈를 다루는 카이로프랙틱의 특기 분야다

신체 깊숙한 곳까지 힘을 가해 어긋난 관절을 교정

하고 증상을 개선한다

 

뇌와 척수는 생명에 직결된 매우 중요한 신체기관이기

때문에 단단한 뼈로 둘러쌓여 보호받는다. 그처럼 몸속

깊숙이까지 자극을 주기 위해서는 뼈를 움직여 힘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신경통은 근육통과 달리 저릿저릿한 통증을 동반할 때가

있다. 몸이 저리는 증상은 신경 또는 혈관이 압박당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신경통은 절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신경통은 체내 깊은 곳에서 단단한 뼈로 보호받아야 할

신경이 압박당한 결과이기 때문에 압박의 원인인 골격

변형이 시작되었다는 징후다

 

현재의 목 상태는 평소의 자세가 초래한 결과다

 

지금 어딘가 아프고 괴롭다면 이때까지 유지한 습관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기회다

 

이제부터 노력하면 10, 20년 후의 상황을 바꿀수 있다

 

< 왜 한쪽 무릎만 아플까 ? >

 

한쪽 무릎만 아픈 까닭은 대부분 아픈 쪽 무릎이

불필요한 부담을 받기 때문이다.

 

통증의 원인이 아무리 나이나 체중 탓이라 하더라도

한쪽만 아픈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그 까닭은 아픈 쪽으로 척추가 기울었기 때문이다

기울어진 신체 중심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더욱 악화될지도 모른다

 

나는 부담을 받은 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고, 부담을

받지 않은 부위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를 원칙으로

삼는다

 

뼈와 디스크 모두 자체적인 병변이 아니라 부담이

가중되어 짓눌리기 때문에 변형된다

 

엑스레이나 mri 검사로는 압박을 받아 짓눌린 지점만

알 수 있을 뿐 어디에서 가해지는 부담 때문인지

또는 무엇이 그곳을 압박했는지 등의 원인은 알 수 없다

 

< 목 근육이 풀어짐에 따라 완화되는 긴장성 두통 >

 

인체 부위별로 각 신경이 담당하는 영역을 가리켜 신경

분포라고 한다. 대후두신경은 경추 2번 아래에서 뻗어

나와 대후두직근을 관통하여 뒤통수를 담당하고

 

소후두신경은 경추 3번에서 나온 뒤 약간 앞쪽으로 돌아

들어가 흉쇄유돌근의 뒤편에서 목옆쪽을 담당한다

 

뒤통수 근육이 경직되어 이러한 신경을 압박하면서 발생

하는 증상이 긴장성 두통이다

 

그러므로 뒤통수를 비롯해 목 뒤와 옆의 근육을 풀어줌

으로써 두통을 완화할 수 있다.

 

목 뒤 근육이 두통을 일으킬 만큼 경직됐다면 경추 또한

정상적인 c자 형태를 잃고 일자 또는 역 c자로 변형되

었을 가능성이 크다

일자목 스트레스를 꾸준히 실시하라

 

< 일자목 개선을 위한 열쇠 >

 

일자목이란 경추가 정상적인 c자 커브를 이루지 못하고

변형되는 증상을 말한다

 

-일자목의 주요 원인으로 네 가지

 

1.아래를 내려다보는 시간이 많다

2.목과 어깨를 근력이 저하되어 목을 지탱할 수 없다

 

3.허리가 뒤로 젖혀지고 목을 앞으로 쑥 내린 자세를

취한다

4.아래턱이 작아 턱이 뒤로 들어가 있다

 

일자목 개선을 위한 열쇠는 허리에 있다

허리가 지나치게 젖혀지면서 등이 정상적인 위치보다

뒤쪽으로 밀려나간 상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자목을 치료하려면 뒤로 젖혀진 허리를

교정하면 된다. 거울을 보면서 꾸준히 허리를 바로

세우는 것이 효과적이다

 

목이 앞으로 돌출하면서 발생한 근육 긴장을 이완하기

위해 목 전체를 풀어준다. 서서 할 수 있는 목 결림

개선하기 동작을 틈틈이 실천하자

 

이어서 일자목 개선 스트레칭을 해보자

 

검지,중지,약지 세 손가락을 나란히 모으고 목 뒤쪽으로

볼록볼록하게 뛰어나온 경추의 가시돌기를 짚는다

 

우선 경추 2,3,4번부터 시작하자

경추 2번의 가시돌기를 찾기가 가장 쉽기 때문이다

 

손가락으로 경추를 누른 뒤 그대로 턱을 위로 올려

천장을 보면서 손 끝에 살짝 힘을 더해 더욱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세 번 심호흡한다

 

손가락 위치를 경추 하나 만큼 아래로 내려서 경추

3,4,5번을 짚은 뒤 똑같이 심호흡하면서 위를 보며

밀어 넣는다. 세 번 호흡한다

 

경추 4,5,6번으로 이동해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수건으로 감은 베게를 목 밑에 놓고

누워서 가볍게 목을 늘여준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