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당뇨병의 원인은 체지방 과다-조지 킹

암과 질병의 자연치유 2024. 1. 24. 07:03
728x90

당뇨리셋-조지킹

 

당뇨병의 원인은 체지방 과다

 

-지방 침착은 췌장을 손상시키는 염증 촉진 물질을 생성

 

근세포 내 미량의 지방 침착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한 가지 요인이다. 포도당을 근육으로 운반하는 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골격근은 주로 혈당 인슐린을 통해

당을 대사하므로 골격근에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2

당뇨병에 걸리기 쉽다.

 

지방 침착은 여러 요인에 의해 근육세포에 축전된다

먼저 체내 저장 지방에서 방출돼 근육 조직을 비롯한

말초 조직으로 유입되는 지방산량의 증가가 한 가지

요인이다.

 

체지방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부위로 지방이 넘쳐

흐르는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체중이 늘고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질수록 저장지방을 대사하여 기타 부위로

지방산을 내보내는 경향이 강해지는 악순환이 일어난다

 

유입 지방산량이 증가하는 와중에도 지방은 끊임없이

저장 되므로 저장지방은 줄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며

지방산은 혈액을 순환하면서 근육으로 운반된다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연소시키는 근육의 기능 장애도

또 다른 요인이다. 근육은 격한 운동을 할 때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지만 가벼운 운동을 할 때는 지방산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근육이 저장 지방을 효과적으로 연소시키지 못하면 근육

세포에 지방이 축적되는데, 이 같은 지방 연소 기능

장애는 신체활동 부족으로 인한 체력 저하에서 비롯하는

경우가 많다.

 

전당뇨병, 당뇨병 환자의 경우 근육 내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적 이상이 원인으로 보인다

지방산 연소 기능 장애는 과체중은 아니나 2형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일부 환자의 근육세포 내 지방 침착 현상

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근육 내 지방 침착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슐린 작용을

저해한다. 우선 침착된 지방은 아미노산과 포도당 등의

에너지원을 대사할 때 근육이 인슐린에 반응하는 능력

을 저하시켜 근육 내 포도당 운반 과정 및 인슐린 신호

전달을 직접적으로 방해한다

 

게다가 유리기 등 반응성이 매우 강한 산소 분자를

생성시켜 근육 내 염증을 유발하여 인슐린 작용을

억제한다.

 

-지방 침착은 인슐린 작용을 저해한다-

 

지방은 에너지 부족에 대비해 잉여 칼로리를 저장해

두는 소극적인 역할을 한다는 게 기존의 인식이었다

하지만 지방 조직이 면역체계의 염증 반응을 비롯한

신진대사 과정에 폭넓게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물질을

생성한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체지방 수치가 정상인 경우 저장 지방은 주로 항염증성

단백질을 분비하여 염증을 예방하는 기능을 한다

 

체중이 늘면 지방 세포가 커지면서 염증을 촉진하는

단백질을 분비하게 되고 강력한 염증 유발 물진인 대사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초대형 지방세포인 대식세포는 만성 염증을 잘 일으킨다

뿐만 아니라 이 지방세포가 내보내는 염증 신호가 혈액을

순환하면서 염증 촉진 물질을 활성화시켜 전신성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전신성 염증은 저수준 염증이 인체에 두루 퍼져 있는

상태를 가르킨다. 붓거나 특정 장기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눈에 뛰는 이상 장애가 나타나는 등의 증세를 보이는

급성 염증과는 달리 전신성 염증을 육안으로 곧바로 식별

하긴 어렵다

 

하지만 저수준 염증 촉진 물질이 끊임없이 혈액을 순환

하면 혈관 및 다른 장기가 쉽게 손상을 입는다.

 

전신성 염증은 심혈관 질환의 주원인일 뿐 아니라 심장

마비. 뇌졸중, 고혈압 위험을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원인

이며,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고 췌장의 베타세포를

손상시켜 당뇨를 유발하는 위험인자로 꼽히고 있다

 

만성염증을 일으키는 염증 촉진 물질이 세포 내 인슐린

신호 전달을 억제해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나기도 한다

특히 사이토카인 단백질은 침착된 지방에 인슐린 저항성

을 일으킨다

 

인슐린은 저장지방 분해를 막고 지방산을 지방으로

저장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인슐린 감수성이 저하되면

저장지방이 지방을 대사하기가 더 용이해져 혈액에

더 많은 지방산을 방출시킨. 이는 결국 더 많은 지방

침착과 근육 및 기타 말초조직의 인슐린 저항성 증가로

이어진다

 

게다가 체지방 과다로 인한 전신성 염증은 근육 및 간의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고 췌장의 베타세포를 손상시켜

인슐린 생성 능력을 떨어뜨린다

비만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한 전신성 염증은 현재 2

당뇨 병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과체중은 지방간을 유발해 포도당 생성을 증가시킨다-

 

복부 내장 지방도 간 내 지방 축적과 연관이 있다

지방산 유입이 증가하면 근육 내 지방으로 축적되기 때문

이다. 지방 축적은 간의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키는데

지방 침착으로 인한 염증 작용이 이를 유발하는 원인

으로 꼽힌다

 

하지만 골격근이 포도당을 연소시키거나 향후 에너지원

으로 쓰기 위해 지방을 축적하는 것과 달리 간은 포도당

을 축적하는 동시에 포도당을 생성해낸다

 

인슐린은 간의 포도당 생성량을 줄여 음식섭취 후 혈당

수치가 상승할 때 포도당을 저장하도록 해준다

 

간 내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이 정상적인 억제 작용이

저해되고, 그 결과 혈당치가 올랐을 때도 간이 포도당을

계속 만들어 내 체내 포도당 농도를 더욱 높인다

 

이 때문에 지방간은 2형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는 원인

으로 작용한다

 

2011년 연구에 의하면 지방간이 있는 경우 지방간이

없는 경우보다 5년 내 2형 당뇨 발생 가능성이 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인슐린 저항성과 2형 당뇨병이 지방간의 원인이

될 때도 있다. 인슐린 작용 중 하나는 지방간을 복합지질

로 만드는 것이다. 인슐린 저항성 때문에 인슐린 수치가

올라가면 이 인슐린 작용이 간 내 지방 침착을 더욱

가속화한다

 

인슐린 저항성과 당뇨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지방간은

가장 흔한 간 기능 장애 중 하나다

 

728x90

'당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 완치할 수 있다-제이슨 펑  (0) 2024.02.21
당뇨리셋-감량 10습관  (1) 2024.01.25
당뇨 원인과 예방-조지킹  (1) 2024.01.23
당뇨리셋-지방이 문제-조지킹  (1) 2024.01.22
당뇨리셋-조지 킹  (0) 202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