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병 3

지방의 역설 2

지방이 범인-콜드웰 애셀스틴 한국인의 25% 가량은 심장과 뇌혈관의 문제, 주로 동맥경화로 사망하고 있다. 상황이 어렇다보니 한국인 누간 심장과 뇌혈관에 대한 걱정과 공포를 마음 한편에 쌓아두고 있고, 의료 시스템도 이런 걱정과 공포를 기반 으로 운영되고 있다.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혈액검사를 한 후 이상소견이 있으면 아스피린이나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저하제를 처방한다. 조금이라도 이상 증상이 있으면 혈관 촬영을 해서 좁아진 혈관을 확인하고 혈관을 넓히기 위한 스텐트를 삽입한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황은 좀처럼 개선되지있 않고 있다. 많은 연구들은 이런 치료가 당장의 사망을 막지만 몇 년 지나 질병이 재발해 사망에 이르는 것을 막진 못한다는 것을 보..

지방 2022.11.13

단백질 역습7

비만의 종말-가쓰 데이비스 과잉 단백질은 독성물질이다 19세기와 20세기 초의 과학자들은 왜 그렇게 많은 양의 단백질을 권장했을까? 20세기에 들어와서 양심 있는 과학자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동물성 지방과 단백질이 비만을 만들고 질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기 시작했다는 것 동물성 음식의 피해를 증명하기 힘든 이유는 비만과 질병에 이르는 시간이 좀 길고 그 상태도 지속되기 때문이다. 만성질환은 음식습관과 운동부족과 수면부족 스트레스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한다. 만성진환은 발병하는 데 몇 년이 걸리며 일단 만성질환을 갖게 되면, 식단의 변화를 갖지 않는 한 죽을 때까지 계속되는 특징이 있다. 의학계에서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평생 친구가 되라’는 어이없는 표어까지 등장한 것이다. 이것은 ..

단백질 2022.11.11

두뇌 음식

두뇌음식-조엘 펄먼 지금 아이에게 익숙한 음식이 평생 동안 좋아하는 음식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많은 아이들이 장래에 성인병을 일으킬 소지가 있는 음식을 먹고 있으며 예방에 도움이 되는 음식은 먹지 않는다. 아무리 떠들어도 사람들은 귀 담아 듣지 않는다 좋은 식습관으로 병을 치료할 수 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미래의 심각한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두뇌는 우리가 먹은 음식으로 구성된다.-콜린 켐벨 추천사 태어나서 10년 동안 먹은 음식이 평생을 좌우한다 식습관이 안 좋은 아이들이 자주 아프다. 반복적으로 중이염, 비염, 알레르기로 고생한다 몸에 맞지 않은 음식을 먹으면 몸과 정신에 이상야릇한 질병이 발생한다. 오늘날 많은 부모가 자기도 모르게 자녀를 망치는 행동을 하고 있다. 아이들에..

음식 2022.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