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질병 발생 원인과 염증

암과 질병의 자연치유 2023. 3. 10. 07:45
728x90

몸속 대청소의학박사 정윤섭

 

< 질병 발생 >

 

현대 의학은 염증이 어느 부위에 발생하는냐에 따라

그 해부학적 조직이나 장기 명칭 뒤에 000염이라는

식으로 병명을 붙인다

 

-관절염, 인대염, 건염 : 관절과 주변 인대와 근육에서

염증이 일어난 경우

 

-비염, 인 후두염, 기관지염 : 호흡기 점막에서 염증이

일어난 경우

 

-위장염과 대장염 : 소화기 점막에서 염증이 일어난 경우

 

-알츠하이머 치매, 파킨슨 병 : 뇌세포 속에서 염증

 

-시신경염, 망막염, 시력 손실 : 시신경과 시상이 맺히는

망막에서 만성 염증이 발생

 

럼 암은 어떤가 ?

암은 염증을 일으키는 독소나 미생물들이 세포에 후성적

영향을 미쳐서 유전자가 변화되어 벌생하는 것이다

 

단순히 세포 속으로 독소가 침투한 것으로 생각하는

것보다 세포 주변에 염증이 있었고 그 와중에 독소가

세포 속으로 스며들어가 암성 세포들이 생겨난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므로 암을 염증과 무관한 질병이라고 불 수는 없다

염증이 있던 자리에서 한두 개씩 또는 몇 십 개씩

암성 세포가 만들어지고 면역 시스템이 이들을 그때그때

처리하여 균형을 이루는 양상을 유지한다

 

그러나 만약 면역시스템이 부담을 많이 받아서 지치고

활성이 떨어지게 되면 이런 암성 세포들은 모두 제거해

내지 못하면서 암성 세포들의 세력화를 방조하게 된다

 

그래서 이들이 주변 혈관으로부터 영양을 적극 섭취하기

시작하면서 종양을 자라나게 된다

 

따라서 암을 염증과 무관하다고 보는 견해는 단편적인

생각이며 이를 염증과의 연장선상에서 면역 시스템의

에너지가 부족하게 되어 맨 마지막 단계에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이해하여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암 환자에게는 더욱 더 몸속 대청소를

열심히 하여 몸속 환경의 획기적인 변화를 통해

침체한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시켜줄 필요가 있다

 

고혈압, 당뇨, 비만, 동맥경화증, 심혈관질환, 뇌졸중

같은 대사 및 혈관성 질환도 지방 조직과 혈관 벽에

반복적인 저강도 염증이 존재하며 이것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만성 피로 역시 전신에 염증이 퍼져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가 소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특히 세포질 내의 미토콘드리아의 염증성 위축이

심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피부의 발적, 뾰루지, 트러블, 가려움증 등도

피부 조직에 발생한 염증 때문이다

 

이렇듯 몸속 어디에든 염증은 발생할 수 있다

간과할 수 없는 질병의 형태는 염증 발생 후 치유과정

에서 이상이 생겨 통증과 불편함을 야기 시키는 경우다

 

거의 모든 질병 발생의 기저에는 염증이 자리 잡고

있다. 염증이 발생하고 이를 치유하기 위해 활성산소가

나오고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자유기가 주변 조직에

손상을 주어 질병이 발생하고 DNA에 까지 영향을 미쳐

 

암은 물론 노화도 진행된다고 보는 것이 옳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이런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과 노화를 방지

하고 젊고 활력 있게 살고 싶은 사람들은 하루속히

몸속 대청소를 시작하여 몸속의 잔존 염증 물질들과

 

섬유성 상처 조직들을 제거함으로써 새로운 세포와

조직으로 재생과 치유가 일어날 수 있도록 일대 전기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염증 물질의 제거 역시 약으로만 염증불을 줄이려 하면

한때 염증불을 줄일 수는 있겠지만, 이는 미봉책에

불과하여 언제든지 다시 염증불이 살아날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반면, 근본적으로 염증 뮬질을 제거하여 염증불을 소화

시키면 아무리 진행된 질병이라도 그곳의 진행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몸속 대청소를 통해 실질적으로

기대하는 효과라고 할 수 있다

 

728x90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속 대청소의 실천 원칙  (0) 2023.03.11
염증 패턴의 변화  (0) 2023.03.11
림프시스템 어떻게 작동하는가  (0) 2022.12.09
몸은 스스로 청소한다  (0) 2022.12.08
보이지 않은 영양 보이는 건강  (0) 2022.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