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유방암

유방암 환자 왜 림프절에 암이 잘 발병할까

암과 질병의 자연치유 2023. 1. 12. 06:35
728x90

유방암-수술,항암 없이 완치할 수 있다-윤태호

 

< 유방암 환자는 왜 림프절에 암이 잘 발병할까 >

 

유방암 초기를 지나면 주로 림프절에서 암이 새로이

발병한다

 

이를 두고 유방암 전문의들은 유방암 세포가 림프절을

타고 전이했다고 주장한다.

 

암세포가 혈액을 타고 다닌다는 사실과 암세포가

림프절을 통과하여 여기저기 떠돌아다닌다는 이유를

들어 암이 전이 한다는 것이다.

 

결국, 간이나 폐와 같은 중요한 장기에 암이 전이할

것이 염려되어 수술한다

 

의사들은 암이 전이한다며 일단 발견되면 초기의

유방암도 빨리 제거하라고 재촉한다

 

그러면 전이의 두려움에 수술을 거부할 수 없다

 

림프절에 작은 암세포가 발견되면 림프절도 함께

절제한다.

 

유방암 수술 후 대부분 항암제와 방사선을 받는다

이는 비단 유방암뿐만 아니고 거의 모든 암에 대한

접근 방법이 그러하다

 

그렇다면 유방암 환자는 왜 림프절에서 암이 잘

발병하는 것일까?

 

첫째, 산소가 부족하다

 

유방암 환자는 일단 유방조직에 산소가 부족하다

그러면 인근 조직 즉, 림프절도 산소가 부족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림프절에서도 암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둘째, 면역력이 낮다

 

유방암 환자는 면역력이 낮은 상태다.

면역력이 낮으면 암세포를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림프절을 비롯한 다른 장기에도 암이 발병

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섯째, 혈류가 나쁘다

 

림프절은 각종 노폐물이 통과하는 통로다.

특히 유방암 환자는 암세포 주변의 혈류뿐만 아니라

암세포 주변의 림프절도 혈류가 좋지 않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림프절은 노폐물을 배출하는 통로이므로

혈류가 나빠지면 노폐물이 림프절에 정체되기 쉽다

따라서 혈류 장애로 인한 산소 부족으로

림프절에서 암이 발병하는 것이다.

 

그에 더하여 림프절은 백혈구와 세균, 바이러스가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는 기관이다

싸움 과정에서 세균, 바이러스는 물론 백혈구도

죽는다

그로 인해 혈액에 노폐물이 쌓여 림프절의 산소

부족으로 암이 발병할 수 있다

 

< 유방암이 재발하는 3가지 이유 >

 

유방암 환자의 유방을 전절제하여도 간이나 폐,

골수와 같은 다른 조직에서 암이 다시 발생한다

 

의사들은 그것을 전이라고 주장하지만

그것은 전이가 아닌 새로운 발병이다

수술과 항암제로 제거했기 때문에 전이할 원발암이

이미 없어졌기 때문이다

 

유방암이 재발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처음 발병하게 된 원인을 제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유방암 환자의 몸에는 산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면역력도 떨어진 상태다

 

따라서 건강한 사람보다는 다른 장기에서 암이 발병

할 가능성이 더 높을 수밖에 없다

 

암을 제거했다고 면역력이 회복되는 것은 아니다

 

자신에게 암이 발병한 원인을 제거하지 않는 한

암이 재발하는 것은 필연이다

 

오히려 장기를 제거했기 때문에 면역력도 크게

떨어져 제거하기 이전보다 엄이 발병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

 

따라서 유방암 절제 수술을 한 후에는 수술하기

이전보다 암이 더 빨리 증식할 수 밖에 없다

 

둘째, 잘못된 처방 때문이다

암은 산소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암 재발을 막으려면 원인제거

, 산소 부족을 해소해야 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암 환자들이 받는 처방은 대부분

산소를 더 부족하게 만든다

 

수술, 항암제, 방사선 등 전통적인 암 치료 방법은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지만

정상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지 못해

결국 다른 장기에서 암이 재발하는 것이다

 

셋째, 암에 대한 두려움이다

 

암 진단을 받으면 대부분 공황상태가 된다

각종 카페나 지식인에 올라오는 질문을 보면,

0기 암이라는 진단만 받아도 죽음에 대한 공포감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멀쩡하게 살다가도 암 진단을 받고 나면 30%

5년 이내에 사망한다

 

일부 중한 암 환자들은 의사로부터 시한부 판정을

받기도 하는데 이 경우 죽음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뇌 산소 부족으로 대부분 사망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