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과 암의 연관성

암과 질병의 자연치유 2022. 12. 11. 16:09
728x90

암은 병이 아니다 안드레이스 모리츠

 

단백질과 암의 연관성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선 암이

발병되지 않는 다는 사실을 증명한 < 차이나 스터디 >

를 포함한 대규모의 과학적 연구 이후 단백질과 암의

연관성은 분명해졌다.

 

여러 나라의 다양한 식습관을 연구한 100편 이상의

연구 보고서에서는 육류 소비와 암 발병 위험의

연관성이 보고되었다

 

최근 미국의 대규모 연구에서는 붉은 고기와 가공육

의 섭취가 암의 진행에서 가장 큰 식이 위험 요인을

내포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제시했다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미국 은퇴자협회 회원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식습관과 건강에 관한 연구에서 참가자

494,000명의 건강 자료를 조사했다

 

8년간에 걸친 이 연구에서 연구 팀은 붉은 고기와 가공

육을 즐겨먹는 20%의 참가자와 그것들을 최소한으로

먹은 20%의 참가자들의 암 발병 비율을 비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붉은 고기를 즐겨 먹는 참가자들의 대장암 발병 비율이

즐겨 먹지 않는 참가자들에 비해 25%가량 높게

나타났으며, 폐암의 경우에는 20%가량 높았다

 

식도암과 간암의 경우에는 20%에서 60% 사이로

증가했다.

 

2005년까지 발표된 연구들을 포함하는 대장암에 대한

최근의 메타분석에 의하면, 붉은 고기의 섭취가

대장암의 발병 위험이 28-35%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고, 가공육의 경우 발병 위험을 20-49%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팀은 붉은 고기의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열 명

중 한 명꼴로 폐암이나 대장암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앞서 언급한 <차이나 스터디>나 지난 60여 년간 진행된

암 관련 연구들에 의하면 사람들이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피할 때 실제로 암이 희귀한 질병이

될 수도 있다

 

다른 연구들에서도 육류의 섭취와 방광암, 유방암,

자궁암, 식도암, 신장암, 간암, 페암, 구강암, 췌장암

발병 위험성과의 연관성이 발견되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2007년에 발표된 <미국 역학 저널>

에서는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는 식습관이

암 예방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많은 연구가 있다

 

미국 국립보건원의 식습관 연구에 참여한 연구원들은

육류에는 일부 조리나 가공 과정에서 형성된 것들

을 포함해 여러 가지 발암성 화합물이 들어 있다는

사실을 제기했다

 

육류에는 헴철, 질산염과 아질산염, 포화 지방,

항생제, 호르몬 그리고 소금 등을 비롯해 다른

잠재적 발암물질도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언급

했다.

 

여기서 언급된 물질들은 호르몬 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며, dna에 손상을 주고,

인슐린 유사 성장 호르몬 분비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활성 산소에 의한 세포의 손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이 모든 것들이 암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20091월 국제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공육을 먹는 어린이들은 백혈병이

발생할 위험이 74% 증가한다.

728x90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과 심장질환의 연관성  (0) 2022.12.12
육류를 섭취할 때 생기는 일  (0) 2022.12.12
유방 림프시스템이란 ?  (0) 2022.12.10
암의 정체는 무엇인가 ?  (0) 2022.12.07
병원 없는 세상  (0) 2022.11.05